이전 포스트에서는 범주형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손실함수인 교차 엔트로피 오차와 그 근간이 되는 정보 이론에서의 엔트로피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.
이번 포스트에서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 중에서도 이진 분류를 할 때, 주로 사용되는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에 대해 학습해보도록 하겠다.
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(Binary Cross Entropy Error)
-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나누고자 하는 분류가 몇 개인지에 따라 사용하는 손실함수가 바뀌게 된다.
- 이는 사용되는 활성화 함수가 다르기 때문으로, 범주가 2개인 데이터는 시그모이드(Sigmoid) 함수를 사용하여 0~1 사이의 값을 반환하거나, 하이퍼볼릭 탄젠트(Hyperbolic Tangent) 함수를 사용하여 -1~1 사이의 값을 반환한다. 이 두 활성화 함수 모두 출력값이 단 하나의 스칼라 값이다.
- 반면에 범주가 3개 이상이라면, 총 합 1에 각 클래스에 속할 확률을 클래스의 수만큼 반환하는 소프트맥스(Softmax) 함수를 사용하여 클래스 수만큼의 원소가 들어있는 배열을 반환하므로, 이에 대한 평가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.
-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로그 손실(Log loss) 또는 로지스틱 손실(Logistic loss)라 불리며, 주로 로지스틱 회귀의 비용 함수로 사용된다.
1.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의 공식
-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.
$$ Loss = -\frac{1}{N}\sum_{i=1}^{N}(y_i*ln\hat{y_i} + (1-y_i)*ln(1-\hat{y_i})) $$
- $\hat{y_i}$는 예측값이며, $y_i$는 실제값이다.
- 얼핏 보면, 꽤 어려워보이는데 앞서 우리가 학습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보면 상당히 단순한 공식이다.
- 먼저 앞서 학습헀던 공식들을 조금 더 이해해보자.
- 엔트로피 공식은 다음과 같다.
$$H(X) = - \sum_{x}P(x)lnP(x) $$
- 교차 엔트로피 공식은 다음과 같다.
$$H(P, Q) = - \sum_{x}P(x)lnQ(x) $$
- 위 두 공식에서 엔트로피 공식과 교차 엔트로피 공식의 차이는 실제값($P(x)$)과 타깃이 되는 예측값($Q(x)$)의 정보량 비율 합으로 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.
- 여기서,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분류할 클래스의 수가 $N>2$인 정수이므로, 클래스별 확률이 다 달랐으나,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클래스가 "y=0"와 "y=1" 단 두 가지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$$ p = [y, 1-y] $$
$$ q = [\hat{y}, 1-\hat{y}] $$
- 그렇다면, $y=0$의 교차 엔트로피 공식을 만들어보자.
$$ H(y)= -\sum_{i=1}^{N}(y_i*ln\hat{y_i}) $$
- $y=1$의 교차 엔트로피 공식을 만들어보자.
$$ H(y-1)= -\sum_{i=1}^{N}((1-y_i)*ln(1-\hat{y_i})) $$
- 밑과 위가 같은 시그마끼리는 서로 합칠 수 있다.
$$ H(y) + H(y-1)= -\sum_{i=1}^{N}(y_i*ln\hat{y_i} + (1-y_i)*ln(1-\hat{y_i})) $$
- 여기서 $N$개의 학습 데이터 전체에 대한 교차 엔트로피를 구해주는 것이므로, 평균으로 만들어 값을 줄여주자!
$$ Loss = -\frac{1}{N}\sum_{i=1}^{N}(y_i*ln\hat{y_i} + (1-y_i)*ln(1-\hat{y_i})) $$
- 앞서, 오차제곱합(SSE)와 평균제곱오차(MSE)에 대해 보았을 텐데, 합은 데이터의 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므로, 데이터의 수로 나눠 평균으로 만들어야 이를 보정해줄 수 있다.
- 여기서 데이터의 수는 입력 값의 벡터 크기가 아니라, Input되는 데이터의 수를 말한다.
-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출력층의 노드 수를 하나로 하여 출력값을 하나로 받으므로, 실제값(Label)과 예측값(predict) 모두 하나의 스칼라 값이다.
- 왜 교차 엔트로피 오차(CEE)에서는 왜 N으로 나눠주지 않았는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, 그 이유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실시한 것이기 때문이다.
- 교차 엔트로피 오차(CEE)를 N개의 데이터에 대해 실시하면 범주형 교차 엔트로피 오차(Categorical Cross Entropy Error)가 된다.
2. 구현해보자!
- 이진형 교차 엔트로피 에러(BCEE)는 앞서 학습 했던, 교차 엔트로피 에러와 꽤 유사하다.
>>> import numpy as np
>>> def BCEE(predict, label):
>>> delta = 1e-7
>>> pred_diff = 1 - predict
>>> label_diff = 1 - label
>>> result = -(np.sum(label*np.log(predict+delta)+label_diff*np.log(pred_diff+delta)))/len(label)
>>> return result
>>> predict = np.array([0.8, 0.1, 0.05, 0.9, 0.05])
>>> label = np.array([1, 0, 0, 1, 0])
>>> BCEE(predict, label)
0.10729012273129139
- 위 데이터를 보면 총 5개의 데이터 셋에 대한 이진 분류 결과를 보았다.
- 이번에는 예측값과 실제 데이터를 더 유사하게 하여 결과를 내보자.
>>> predict = np.array([0.95, 0.05, 0.01, 0.95, 0.01])
>>> label = np.array([1, 0, 0, 1, 0])
>>> BCEE(predict, label)
0.03479600741200121
- 보다 0에 가까워진 것을 알 수 있다.
- 이번에는 좀 멀게 만들어보자.
>>> predict = np.array([0.30, 0.40, 0.20, 0.65, 0.2])
>>> label = np.array([1, 0, 0, 1, 0])
>>> BCEE(predict, label)
지금까지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(Binary Cross Entropy Error, BCEE)에 대해 학습해보았다. BCEE는 앞서 봤던 CEE를 단순하게 "y=0"일 사건과 "y=1"일 사건에 대한 교차 엔트로피 오차 합의 평균을 낸 것으로,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다음 포스트에서는 이진 교차 엔트로피 오차에 대응하는 다중 분류에 사용되는 범주형 교차 엔트로피 오차(Categorical Cross Entropy Error)에 대해 학습해보도록 하겠다.
'Machine Learning > Deep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딥러닝-6.0. 최적화(1)-손실함수와 경사하강법 (0) | 2021.02.03 |
---|---|
딥러닝-5.5. 손실함수(6)-범주형 교차 엔트로피 오차(CCEE) (0) | 2021.02.01 |
딥러닝-5.3. 손실함수(4)-교차 엔트로피 오차(CEE) (0) | 2021.02.01 |
딥러닝-5.2. 손실함수(3)-평균제곱근오차(RMSE) (0) | 2021.01.29 |
딥러닝-5.1. 손실함수(2)-평균제곱오차(MSE) (0) | 2021.01.29 |